Health Encyclopedia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Z Listings

성인 편도선염

편도선염은 편도선이 부어오르고 발적(염증)이 나타는 것을 말합니다. 편도선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로 감염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편도선은 목구멍 뒤편에 있는 2개의 분홍색 타원형 림프샘을 말합니다. 편도선은 우리 몸 면역계의 일부입니다. 면역계는 우리 몸이 감염증과 싸우는 것을 도와줍니다. 편도선은 콧구멍과 입 안으로 세균이 들어오면 반응합니다.

편도선염은 매우 흔하게 발생합니다. 아동에서 가장 자주 나타나지만, 성인들 사이에서도 발생합니다.

편도선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는 사람들 사이에 쉽게 옮습니다.

구강 및 편도선을 목구멍 염증 및 부어오른 편도선과 비교해서 보여주는 입을 벌린 얼굴의 정면 모습.

편도선염의 원인은 뭔가요?

편도선염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편도선염을 일으키는 흔한 바이러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감기 바이러스

  • 아데노바이러스

  • 엡스타인-바(Epstein-Barr) 바이러스

  • 전염성 단핵증

  • 단순포진바이러스

  • 거대세포바이러스(CMV)

  • 홍역

편도선염 원인이 박테리아인 경우도 있습니다. 박테리아성 편도선염은 종종 패혈성 인두염이라고 부릅니다. 편도선염을 일으키는 박테리아 중 가장 흔한 것은 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us(그룹 A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입니다. 이 박테리아는 공기 중의 비말을 통해 전염됩니다. 감염증 보균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는 경우 비말이 퍼집니다. 또한, 음식이나 음료를 나눠 먹을 때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편도선염의 증상

증상은 편도선염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편도선염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급성 편도선염

이 유형의 편도선염의 경우 증상은 대개 며칠이면 사라집니다. 하지만 최대 2주까지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치료가 끝난 후 증상이 다시 돌아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을 급성 재발성 편도선염이라고 합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열

  • 인후통

  • 심한 구취

  • 삼키는 데 어려움

  • 탈수

  • 목 부분 림프절(임파선) 통증

  • 피로감

  •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또는 입으로 숨쉬기

  • 흰색 반점, 고름 또는 편도선 발적

  • 온몸에 붉은색 발진

만성 편도선염

이 유형의 경우 감염 또는 염증이 수개월간 지속됩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오래 계속되는 인후통

  • 심한 구취

  • 오래 계속되는 목 부분 림프절(임파선) 통증

  • 편도선에 박테리아와 조각이 모임. 이것을 편도 결석이라고 합니다.

편도주위 농양

중증 형태의 편도선염입니다. 편도선 주변에 고름 주머니(농양)이 생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경우 즉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그래야 농양이 기도를 막는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심한 인후통

  • 입을 벌리기 힘듬

  • 침흘림

  • 목소리를 크게 내기 힘듬

  • 호흡 곤란

  • 편도 한 쪽이 더 크게 보일 수 있음

편도선염의 진단

증상이 있는 경우 주치의에게 진찰을 받으세요. 또는 이비인후과(ENT) 전문 의료진에게 진찰을 받으세요.

의사가 증상에 대해 질문을 할 겁니다. 의사는 귀와 코, 목구멍을 살펴보고 부은 곳이나 염증이 있는지도 확인합니다. 그런 다음 편도나 목구멍 뒷부분을 면봉으로 긁어냅니다. 이렇게 채취한 표본으로 의사 진료실에서 패혈성 인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신속 연쇄상구균 테스트라고 합니다. 몇 분 안에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테스트에서 위음성이 나올 수 있습니다. 결과에 의문점이 있는 경우 의사는 표본을 검사실로 보내 검사하도록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인두부 배양). 검사실 결과가 나오는 데는 24시간 이상 걸립니다. 하지만 인두부 배양이 더 정확합니다.

편도선염 치료

치료는 편도선염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박테리아가 원인인 경우 의사는 회복을 위해 항생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중간에 상태가 나아지더라도 항생제는 끝까지 복용해야 합니다.

항생제는 바이러스에 의한 편도선염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바이러스성 편도선염은 보통 저절로 낫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냥 집에서 관리하는 것이 최선일 수 있습니다. 휴식과 수분 섭취도 도움이 됩니다. 가정 관리 중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요령:

  • 충분한 휴식을 취합니다.

  • 물, 수프, 육수, 꿀과 레몬을 넣은 차 등, 액체를 충분히 섭취합니다.

  • 아이스크림, 애플소스, 향첨가 젤라틴 등 부드러운 음식을 먹습니다.

  • 따뜻한 소금물로 입안을 헹굽니다.

  • 비처방 목구멍 스프레이나 목캔디를 사용해 통증을 완화합니다.

  • 지시에 따라 비처방 해열진통제를 복용합니다.

  • 차가운 증기가 나오는 가습기로 공기 습도를 유지해 줍니다.

심한 경우 탈수 증상이나 기도가 막히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입원해야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되는 경우 수술로 편도선을 제거(편도선 절제술)해야 할 수 있습니다:

  • 만성 편도선염

  • 편도선염이 계속 재발하는 경우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 급성 재발성 편도선염

편도주위 농양인 경우, 수술을 통해 농양을 빼내야 할 수 있습니다.

편도선염 예방하기

편도선염 자체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편도선염의 원인인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는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

편도선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나 약은 없습니다. 편도선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의 전염 또는 감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요령:

  • 아픈 사람이 있으면 최대한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 아픈 사람과는 식기류, 컵, 칫솔 또는 개인 물품 등을 공유하지 않습니다.

  • 손을 올바른 방법으로 씻습니다. 비누와 깨끗한 물을 사용해 최소 20초간 자주 씻습니다. 손을 씻을 수 없는 경우 최소 60% 알코올이 함유된 손세정제를 사용합니다.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입을 가립니다.

911로 전화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나타나는 경우 911로 전화하세요:

  • 숨쉬기나 말하기가 힘듬

  • 삼키기나 입 열기가 힘듬

  • 입과 목구멍이 부어오름

  • 침흘림

담당 의사에게 연락해야 할 때

다음 증상 중 어느 하나라도 나타나는 경우 담당 의사에게 전화하세요:

  • 100.4°F(38°C) 이상의 고열, 또는 담당 의사의 지시에 따라

  • 목 안 덩어리가 커짐

  • 인후 통증이나 목 통증이 악화됨

  • 입을 완전히 벌릴 수 없음. 이것을 개구장애 또는 입벌림장애라고 합니다.

  • 목 뻣뻣함

  • 출혈

  • 삼킬 때 통증

  • 몸 상태가 매우 나쁘거나 아픔

  • 인후통이 2일 이상 계속됨

© 2000-2025 The StayWell Company, LLC. All rights reserved. This information is not intended as a substitute for professional medical care. Always follow your healthcare professional's instructions.
Powered by Krames by WebMD Ignite
About StayWell | Terms of Use | Privacy Policy | Disclai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