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편도선염
편도선염은 편도선이 부어오르고 발적(염증)이 나타는 것을 말합니다. 편도선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로 감염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편도선은 목구멍 뒤편에 있는 2개의 분홍색 타원형 림프샘을 말합니다. 편도선은 우리 몸 면역계의 일부입니다. 면역계는 우리 몸이 감염증과 싸우는 것을 도와줍니다. 편도선은 콧구멍과 입 안으로 세균이 들어오면 반응합니다.
편도선염은 매우 흔하게 발생합니다. 아동에서 가장 자주 나타나지만, 성인들 사이에서도 발생합니다.
편도선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는 사람들 사이에 쉽게 옮습니다.

편도선염의 원인은 뭔가요?
편도선염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편도선염을 일으키는 흔한 바이러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편도선염 원인이 박테리아인 경우도 있습니다. 박테리아성 편도선염은 종종 패혈성 인두염이라고 부릅니다. 편도선염을 일으키는 박테리아 중 가장 흔한 것은 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us(그룹 A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입니다. 이 박테리아는 공기 중의 비말을 통해 전염됩니다. 감염증 보균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는 경우 비말이 퍼집니다. 또한, 음식이나 음료를 나눠 먹을 때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편도선염의 증상
증상은 편도선염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편도선염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급성 편도선염
이 유형의 편도선염의 경우 증상은 대개 며칠이면 사라집니다. 하지만 최대 2주까지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치료가 끝난 후 증상이 다시 돌아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을 급성 재발성 편도선염이라고 합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열
-
인후통
-
심한 구취
-
삼키는 데 어려움
-
탈수
-
목 부분 림프절(임파선) 통증
-
피로감
-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또는 입으로 숨쉬기
-
흰색 반점, 고름 또는 편도선 발적
-
온몸에 붉은색 발진
만성 편도선염
이 유형의 경우 감염 또는 염증이 수개월간 지속됩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편도주위 농양
중증 형태의 편도선염입니다. 편도선 주변에 고름 주머니(농양)이 생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경우 즉시 치료가 필요합니다. 그래야 농양이 기도를 막는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심한 인후통
-
입을 벌리기 힘듬
-
침흘림
-
목소리를 크게 내기 힘듬
-
호흡 곤란
-
편도 한 쪽이 더 크게 보일 수 있음
편도선염의 진단
증상이 있는 경우 주치의에게 진찰을 받으세요. 또는 이비인후과(ENT) 전문 의료진에게 진찰을 받으세요.
의사가 증상에 대해 질문을 할 겁니다. 의사는 귀와 코, 목구멍을 살펴보고 부은 곳이나 염증이 있는지도 확인합니다. 그런 다음 편도나 목구멍 뒷부분을 면봉으로 긁어냅니다. 이렇게 채취한 표본으로 의사 진료실에서 패혈성 인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신속 연쇄상구균 테스트라고 합니다. 몇 분 안에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테스트에서 위음성이 나올 수 있습니다. 결과에 의문점이 있는 경우 의사는 표본을 검사실로 보내 검사하도록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인두부 배양). 검사실 결과가 나오는 데는 24시간 이상 걸립니다. 하지만 인두부 배양이 더 정확합니다.
편도선염 치료
치료는 편도선염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박테리아가 원인인 경우 의사는 회복을 위해 항생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중간에 상태가 나아지더라도 항생제는 끝까지 복용해야 합니다.
항생제는 바이러스에 의한 편도선염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바이러스성 편도선염은 보통 저절로 낫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냥 집에서 관리하는 것이 최선일 수 있습니다. 휴식과 수분 섭취도 도움이 됩니다. 가정 관리 중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요령:
-
충분한 휴식을 취합니다.
-
물, 수프, 육수, 꿀과 레몬을 넣은 차 등, 액체를 충분히 섭취합니다.
-
아이스크림, 애플소스, 향첨가 젤라틴 등 부드러운 음식을 먹습니다.
-
따뜻한 소금물로 입안을 헹굽니다.
-
비처방 목구멍 스프레이나 목캔디를 사용해 통증을 완화합니다.
-
지시에 따라 비처방 해열진통제를 복용합니다.
-
차가운 증기가 나오는 가습기로 공기 습도를 유지해 줍니다.
심한 경우 탈수 증상이나 기도가 막히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입원해야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되는 경우 수술로 편도선을 제거(편도선 절제술)해야 할 수 있습니다:
-
만성 편도선염
-
편도선염이 계속 재발하는 경우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
급성 재발성 편도선염
편도주위 농양인 경우, 수술을 통해 농양을 빼내야 할 수 있습니다.
편도선염 예방하기
편도선염 자체는 전염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편도선염의 원인인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는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습니다.
편도선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나 약은 없습니다. 편도선염을 일으킬 수 있는 병의 전염 또는 감염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요령:
-
아픈 사람이 있으면 최대한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
아픈 사람과는 식기류, 컵, 칫솔 또는 개인 물품 등을 공유하지 않습니다.
-
손을 올바른 방법으로 씻습니다. 비누와 깨끗한 물을 사용해 최소 20초간 자주 씻습니다. 손을 씻을 수 없는 경우 최소 60% 알코올이 함유된 손세정제를 사용합니다.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입을 가립니다.
911로 전화
다음 중 어느 하나라도 나타나는 경우 911로 전화하세요:
-
숨쉬기나 말하기가 힘듬
-
삼키기나 입 열기가 힘듬
-
입과 목구멍이 부어오름
-
침흘림
담당 의사에게 연락해야 할 때
다음 증상 중 어느 하나라도 나타나는 경우 담당 의사에게 전화하세요: